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할 때 연락처를 통으로 입력 받는 사이트도 있지만
e.g.)'01012345678'
3개로 나눠서 받는 사이트도 있다.
e.g.) '010-1234-5678'
이럴때는 dto에
이렇게 따로 변수를 선언해준다.
DB 내부에서는 보통 tel1, tel2, tel3가 따로 없고
tel 변수 하나에 전체 번호를 저장하기 때문에
DTO의 tel의 getter에
tel = tel1+"-"+tel2+"-"+tel3; 를 추가해준다.
반대로 연락처를 수정할 경우 DB에서 DTO로 전화번호를 가져오는데
tel 하나에 저장되어 있는 번호를 가져와서
tel1, tel2, tel3를 따로 나눠서 수정하기 때문에
DTO의 tel의 setter에
String telCut[]=tel.split("-");
tel1=telCut[0];
tel2=telCut[1];
tel3=telCut[2];
이렇게 split()을 이용하여 번호를 각각 나눠준다.
'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pring MVC 흐름도 (2) | 2023.03.13 |
---|---|
[Spring ] sts 콘솔 라인 수 제한 (console buffer size too low) (0) | 2023.03.06 |